변화와 혁신으로 꿈을 현실로 만드는 세상!

서적 및 자료

  • 서적 안내
  • 역사자료 안내

서적 안내

HOME > 서적 및 자료 > 서적 안내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ㅣ 이덕일,김병기 지음

이 책이 속한 분야

역사/문화 > 한국사 > 한국고대사

이슈와 쟁점으로 한국사의 진실을 재점검하는 새로운 역사 읽기우리 역사 바로잡기시리즈. 역사학계에서 팽팽히 맞서고 있는 논쟁의 불씨들을 끄집어내 풍부한 사료와 날카로운 시각으로 비판함으로써 역사의 진실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고자 했다. 한국사의 이슈와 쟁점을 바탕으로 우리 역사의 진실에 대한 건설적인 논쟁의 장을 제공한다.

 

1<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은 고조선을 둘러싼 갖가지 추측과 논쟁들을 되짚어보는 책이다. 단군조선과 위만조선, 기자조선에 대한 다양한 사료들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실체를 증명하고 있다. 그동안 논쟁이 심했던 고조선에 대한 의문점들을 쟁점별로 정리하고, 풍부한 사료를 근거로 기존의 오류들을 바로잡았다. 특히 교과서에서도 피해가고 있는 고조선에 얽힌 오류와 비밀을 조목조목 밝히고 있다.

이 책의 총서 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저자 : 이덕일

작가 자세히 보기 관심작가 등록

저자가 속한 분야

인문/교육작가 > 역사학자

이덕일 이덕일

1997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를 시작으로 예리한 시각과 흡입력 있는 문체로 한국사의 핵심 쟁점들을 명쾌하게 풀어냄으로써 역사의 대중화에 기여한 우리 시대 대표적인 역사학자이다. 교양 한국사 1~3,조선왕 독살사건, 조선 최대 갑부, 역관,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1~3(공저), 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 이덕일의 여인열전,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사도세자의 고백, 장군과 제왕, 한국사의 천재들(공저) , 학문적 깊이와 지적 흥미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역사서를 다수 집필했다. 일제 식민사학과 중화사관의 왜곡을 벗겨내어 한국사의 참모습을 복원하고, 더 나아가 우리 역사의 광대했던 대륙성과 해양성을 되살리는 것에 자신의 모든 열정을 쏟고 있다. 현재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역사 저술에 힘쓰고 있다.

 

김병기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인 증조부와 부친을 이어 가학(家學)인 한국사 연구와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증조부 김승학 선생은 <독립신문> 사장과 육군주만참의부 참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이자 한국독립사를 펴낸 역사가이기도 했으며, 그의 부친 김계업 선생 역시 대한독립운동총사 편찬위원장으로서 한국민족총사고를 저술한 역사가이다. 이런 가학의 배경에서 민족주체성에 입각해 우리 역사에 덧씌워진 중화사관과 일제 식민사학의 잔재를 벗겨내고 우리 역사의 본래 모습을 복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단국대에서 한국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한독립운동총사편찬위원회 위원장,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의 전문위원으로 한국사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3(공저), 한국사의 천재들(공저)이 있다.

 

신정일

문화사학자이자 답사가. 1985년 황토현문화연구소를 발족하여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그리고 묻혀 있는 지역문화를 발굴하고 재조명하는 데 힘쓰고 있다. 또한 1989년부터 문화유산 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한국의 10대 강 도보 답사를 기획,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조선 시대 최고의 인문지리서인 택리지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다시 쓰는 택리지 1~5, 울고 싶지? 그래, 울고 싶다, 지워진 이름 정여립, 나를 찾아가는 하루 산행 1, 2, 한국사, 그 변혁을 꿈꾼 사람들, 금강 401km, 섬진강 따라 걷기, 신정일의 한강역사문화탐사, 신정일의 낙동강역사문화탐사, 한국사의 천재들(공저), 대동여지도로 사라진 옛 고을을 가다 1~3등의 저서가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다시 쓰는 고조선 역사

 

1. 국사 교과서는 고조선을 어떻게 가르치나?

- 국사 교과서에 단군조선은 없다

- 수수께끼의 부왕과 준왕

- ‘우리 역사는 연나라에서 망명한 위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 고조선은 번국을 거느린 황제국이었다

 

2. 단군, 신화인가 역사인가?

- 조선은 몇 시기로 나눌 수 있나?

- ‘조선이란 명칭의 유래

- 단군조선에 관한 옛 기록들

- 단군은 고려 후기의 창작품인가?

 

3. 기자조선은 실재했는가?

- 사대주의 유학자들의 단군조선 인식

- 기자에 대한 중국의 기록들

- 기자와 관련된 유물의 출토

- 기자조선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4.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그 진실은?

- 위만은 연나라 사람인가, 조선인인가?

- 고조선 최후의 수도는 어디인가?

- 위만조선과 한의 대치

- 조한전쟁, 그 결말은?

- 한나라 장수와 조선 항신들의 엇갈린 운명

 

5. 고조선 사람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 고조선 항신들의 뒷이야기

- 고조선 부흥운동에 나선 항신들

- 고조선 유민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 주몽의 등장

 

6. 한사군은 어디에 있었는가?

- 한사군의 위치에 대한 식민사학자들의 주장

- 한사군에 대해 엇갈리는 중국 기록들

- 한사군은 정말로 한반도에 있었을까?

- 수양제의 침공로에도 한사군이 나온다

- 낙랑군과 낙랑국은 다르다

 

7. 고조선의 강역은 얼마나 넓었을까?

- 고조선의 서쪽 국경과 중심지에 대한 고찰

- 요동과 요하의 위치

- “연의 장수 진개가 고조선 영토 2천여 리를 빼앗았다

- 고조선의 국경, 만리장성의 동쪽 끝은 어디일까?

- 패수는 어디인가?

- 고조선의 중심지는 어디인가?

 

8. 고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농경과 유목생활을 병행하다

- 높은 경제력으로 풍족한 생활을 하다

- 벼농사를 짓다

- 어떤 옷을 입었을까?

- 무엇을 먹었을까?

- 난방을 위해 구들을 사용했다

- 고조선 사람들도 화폐를 사용했다

- 고조선 사회의 풍속은 어떠했을까?

- 고조선 사람들의 사후死後 세계관과 고인돌

- 고조선의 놀라운 청동 주조 기술

- 제철 기술도 세계적인 수준이었다

- 고조선으로의 한문 전파 가능성

 

2부 다시 살아나는 고조선

 

9. 출토 유물로 살펴보는 고조선

- 출토 유물로 고조선을 보는 목적

- 고조선과 신석기

- 고조선과 중국 청동기 문화의 차이점

- 중국식 동검과 다른 비파형 동검

- 한반도에서 많이 출토되는 세형 동검

- 비파형 동검과 세형 동검의 거푸집

- 기자조선 관련 유물들

- 고조선의 표지유물, 고인돌

- 고조선의 다뉴세문경

- 명도전은 연나라 화폐인가, 고조선 화폐인가?

- 한나라의 낙랑군은 평양 지역에 있었을까?

- 대동강 유역의 중국계 주민들은 누구였나?

 

10. ‘붉은악마의 상징, 치우는 동이족의 조상인가?

- 치우를 찾아가는 길

- 사마천이 사기를 쓸 때 이용한 자료들

- 사마천이 생각하는 역사의 시작

- 사마천, 현장 답사로 기록을 검증하다

- 환단고기의 치우 관련 기록

- 사기주석서에 나오는 치우 관련 기록

- 규원사화에 나오는 치우 관련 기록

- 중국인들의 조상으로 편입된 치우